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ackend/Spring2

[Spring] 예외처리는 곧 유비무환 내가 코드를 작성할 때는 파일 시스템은 안정적이며 네트워크는 원활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JVM이 차지하는 메모리는 여유있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한다. 이를 일컬어 Happy Path 라고 말하는 것 같은데, 소위 말하자면 머리가 꽃밭에 있어서 아무 걱정이 없는 상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는 단지 현실의 문제를 가상화한 모델링 결과일 뿐이다. 현실은 더욱 복잡하고 가차없으며 저렇게 작성했던 내 과거의 코드들은 무분별하게, 잔인하게, 야만적인 느낌이 들 만큼 Exception(예외)을 뿌려주었다. 연결된 네트워크 이상으로 전달이 지연되거나 실패하는 경우, 갑작스런 접속자 폭증으로 응답이 지연되는 경우 등은 기본. 사전에 공유된 내용도 없이 인터페이스 내용이 바뀐다거나 기준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 2023. 12. 26.
[Spring] Proxies in JPA Proxy? JPA를 공부하다보면 Proxy 라는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내가 알고있는 프록시와 어떤 것이 다를까 찾아보다가 재미있는 표현을 찾았습니다. 한 Article의 저자는 바로 마법같은 일로 개발자의 생산성을 폭발시키는 이것이 바로 프록시이다, 라고 합니다. It's very common to refer to some Spring features as "magic". How else could you add functionality like caching at the method level with nothing but a single annotation? Magic! - Christopher Anatalio in medium.com - 스프링의 프록시는 Proxy Design Patter.. 2023. 5. 30.
반응형